Skip to content
로그인
회원가입
top
Search:
광진구지역사회보장협의체
공식홈페이지
협의체 소개
인사말
법적근거
구성목적 및 기능
연혁
조직도
오시는길
협의체 운영
대표협의체
실무협의체
실무분과
실무분과소개
아동청소년분과
여성분과
장애인분과
노인분과
지역분과
문화체육분과
보건의료분과
통합서비스분과
통합사례관리분과
영유아분과
동보장협의체
동보장협의체 소개
중곡1동
중곡2동
중곡3동
중곡4동
군자동
능동
구의1동
구의2동
구의3동
광장동
자양1동
자양2동
자양3동
자양4동
화양동
지역사회보장계획
지역사회보장계획이란?
광진구지역사회보장계획
연차별 시행계획 및 결과
지역사회보장계획 운영
협의체 소식
공지사항
월간일정
활동공유
자료실
참여 게시판
소통게시판
정책 및 운영 제안
사각지대 상담
협의체 소개
인사말
법적근거
구성목적 및 기능
연혁
조직도
오시는길
협의체 운영
대표협의체
실무협의체
실무분과
실무분과소개
아동청소년분과
여성분과
장애인분과
노인분과
지역분과
문화체육분과
보건의료분과
통합서비스분과
통합사례관리분과
영유아분과
동보장협의체
동보장협의체 소개
중곡1동
중곡2동
중곡3동
중곡4동
군자동
능동
구의1동
구의2동
구의3동
광장동
자양1동
자양2동
자양3동
자양4동
화양동
지역사회보장계획
지역사회보장계획이란?
광진구지역사회보장계획
연차별 시행계획 및 결과
지역사회보장계획 운영
협의체 소식
공지사항
월간일정
활동공유
자료실
참여 게시판
소통게시판
정책 및 운영 제안
사각지대 상담
협의체 소개
인사말
법적근거
구성목적 및 기능
연혁
조직도
오시는길
Menu
인사말
법적근거
구성목적 및 기능
연혁
조직도
오시는길
구성목적
첫째. 민관협력의 구심점으로서 지역사회보호체계 구축・운영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집행·평가 등 지역사회보장 증진을 위한 과정에 민간의 참여·협력기반을 마련함으로써 국민 중심의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에 기여
특히, 사회보장급여가 필요한 지원대상자에게 필요한 급여(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법인·단체·시설의 대표 또는 실무자 등 다양한 지역주민의 참여를 통하여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지역사회보호체계 구축·운영
둘째. 수요자 중심의 통합적 사회보장급여 제공 기반 마련
종전의 보건의료와 사회복지 위주의 서비스 제공에서 벗어나 고용·주거·교육·문화·환경관련 서비스 제공자 간 연계망(network)을 구성하여 수요자의 다양하고 복합적 욕구에 대응한 서비스를 Any-stop, One-stop으로 제공
지역 내 서비스 제공 관련 기관·법인·시설·단체 간 연계·협력 강화를 통하여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시군구의 희망복지지원단 또는 읍면동 주민센터의 통합 사례관리 기능을 효율적으로 지원
셋째. 지역사회 내 사회보장급여 제공기관·법인·단체·시설 간 연계·협력으로 지역복지자원의 효율적 활용체계 조성
지역사회의 다양하고 잠재적 복지자원을 발굴·확충하고, 서비스 제공기관 간 연계·협력을 통해 지역사회 복지자원 및 지원대상자에 대한 정보 등을 공유함으로써 급여제공의 중복과 누락을 방지
현행 사회보장정보시스템을 통해 추진되는 타부처·공공기관 복지대상자 지원의뢰체계를 민간 복지기관까지 단계적으로 확대
복지대상자의 중복·누락을 방지하고 한정된 복지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민·관 정보공유시스템 구축 추진
넷째. 민·관 협력을 통해 사각지대 발굴 및 지원 강화를 위한 읍면동 단위 주민 네트워크 조직
「사회보장급여법」 시행으로 새롭게 읍면동 단위 지역사회보장협의체가 조직·운영되면서 관할 지역의 사회보장대상자 발굴업무, 사회보장 자원발굴 및 연계업무 등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다양한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주민 네트워크 조직화
즉, 마을 또는 생활권역 내 취약계층 발굴을 위한 사회적 안전망(인적)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동향 파악 및 필요한 지원 연계
주요기능
협치(governance) :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수립・과정・평가 등 지역사회보장의 주요 사항에 대하여 민간과 공공이 협력하여 심의・자문
연계(network) : 사회보장과 관련된 서비스 제공하는 관계 기관・법인・단체・시설과 연계・협력 강화
통합(integrate) : 협의체 내 각 분과 간 통합 및 조정역할을 수행하고 지역주민의 욕구를 반영한 통합적 서비스 제공체계 지원, 통합서비스 제공을 위해 기존의 보건복지 뿐만 아니라 고용・주거・교육・문화・환경 등 다양한 영역과 연계
Go to Top